지맥/관악지맥(終)

관악지맥1.(분기점-백운산-국수봉-이수봉-찬우물)

수정신 2021. 2. 11. 21:42

2021년 02월 09일(화)

코스 : 의왕시 백운사입구-백운산-분기점-백운산-고분재-바라산-우담산-영심봉-하오고개-국사봉-이수봉-절고개-과천매봉-찬우물. // 19.9km(6:04)

관악지맥1(백운산-이수봉-찬우물0).gpx
0.46MB

 

 

기상청 예보와 달리 몹시 추운날

- 모란역에서 5번출구에서 2007번 광역버스를 타고 의왕TG 환승정류장에 하차, 고천체육공원 방향으로 약 300m 걸어 내려와 고천체육공원 맞은편의 정류장에서 87번 버스를 타고 백운사입구 정류장에 내려 산행을 시작한다. 

87번 버스는 약 20분 간격으로 자주 있으며 버스종점에서 백운산 오르는 최단거리 코스이다.

- 백운산에서 청계산 이수봉으로 이어지는 관악지맥 아니더라도 의왕대간이라는 명칭과 광청종주 코스로 산객이라면 대부분 익숙한 산길이라 여러 면에서 부담이 없는 산길이다.

평일날 추위 탓인지 인적이 없어 백운산에서 이수봉 이르기까지 산을 전세낸 듯하다.

- 제비울길이 구리안로를 만나는 지점에서 찬우물로 이어지는 마루금은 대단지 아파트 공사현장으로 빠져나갈 틈이 없이 막혀있어 우회로를 이용하여 공사현장을 지나 찬우물정류장에 닿지만 이후론 완공된후의 아파트를 가로지를지 먼 거리로 우회해야 할지 알 수 없겠다.

- 찬우물 버스정류장에서 과천청사역-사당역을 거쳐 귀가한다.     

 

관악지맥은

한남정맥 백운산 350m 전에서 분기하여 백운산을 거치며 북쪽으로 가지 쳐 바라산, 국사봉, 이수봉, 과천매봉을 거치고 갈현고개(찬우물고개) 고도를 낮추었다가 다시 관악산을 올랐다 까치고개로 내려서 서달산, 장승배기를 거쳐 안양천과 한강이 만나는 염창교 합수점에서 그 맥을 다하는 56km의 산줄기이다.

 

 

의왕tg 환승정류장에서 직진방향으로 내려와 고천체육공원 맞은편의 정류장에서 87번 버스로 종점인 백운사입구로 간다.

주차장 건너편의 정류장에서 87번.. 01번은 하루에 몇 번??

08:40. 백운사입구 

백운사 경내는 패스하고..

 

09:18. 백운산.. 분기점 찍기위해 광교산 방면으로 군부대를 한바퀴 돌아온다.

09:28. 관악지맥 분기점

 

11:20. 하오고개

 

11:40. 하오고개에서 숨가쁘게 오르면 벤취가 있는 395m봉에서 쉬어간다.

이곳에서 국사봉이 20분 ..?? 겨울철 외는 혀 빼물고 올라야겠다. 

11:56. 국사봉

12:23. 정상석에서 죽치고 수다떠는 사람땜에 한 참을 기다려야 했다. 

이수봉에서 내려오며 석기봉도 바라보고..

가야할 마루금(좌능선)과 관악산 조망

능선의 뜬금없는 삼각점? 

390m삼각점봉

 

13:22. 청계산 매봉

매봉에서 조망

제비울로 내려서는 길은 아카시아나무 잡목숲.

아카시아 숲은 항상 지저분하다.

제비울로가 끝나는 지점에서 찬우물까지 선답자들의 트랙은 직진길이다.

그러나 현장으로 막혀있어 우측으로 돌아 공사현장 중간을 통과하여 찬우물에 도착한다.

이곳에서 왔다리 갔다리 하면서 10분 이상을 소비한다.

원 트랙은 노란색선, 진행한 선도 일부 도로로 표시되어 있으나 파헤쳐진 길이다.

찬우물에 도착하여 현장만 아니라면 넘어왔을 산등성이를 돌아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