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암지맥1(동학사-관음봉-쌀개봉-천왕봉-밀목재)
2022년 09월 01일(목).뉴마포산악회
코스 : 동학사 - 은선폭포 - 관음봉 - 쌀개봉 - 통천문 - 마당바위 - 556m - 신선대 - 천왕봉 - 황적봉(왕복) - 밀목재(동물이동통로). // 12km(5:43)
동학사 입구에서 통행세 3,000원을 지불하고 관음고개로 간다.
동학사를 거쳐 관음고개로 오르는 등로는 상당한 깔딱고개. 1:42분 소요
관음봉에 올라 15분가량 주변을 조망한뒤 비탐길 쌀개봉을 향해 가는 길이 금남정맥에서 느끼지 못한 까칠한 능선을 몇개 오르내리는데 계룡산 천단과 천왕봉을 거친 기억은 또렸한데 쌀개봉을 올랐던 기억은 없다.
계룡산을 여러번 올랐어도 계룡산 연천봉에서 시작하여 문필봉, 관음봉, 삼불봉 임금봉 장군봉으로 동서로 이어지는 계룡산을 한 눈에 조망할수 있는 곳은 관암지맥이 아니고서는 볼 수 없는 명품코스가 관암지맥 1구간이다.
이렇게 멋진 능선을 왜 비탐구역으로 묶어놓았을까?
천왕봉 약 500m 전의 암봉은 홀드가 없는 위험한 곳으로 반드시 로프를 준비해가야 할 것같다.
관암지맥(冠岩枝脈) 이란
관암지맥(冠岩枝脈)은 금남정맥의 계룡산 천왕봉(846m) 북쪽에 위치한 쌀개봉(827.8m)에서 동쪽으로 분기해서 동북진하면서 대전시와 공주시, 세종시를 각각 경계를 지으며 세종시 금남면 부용리에서 금강에 그 맥을 다하는 총도상거리 42.2km인 산줄기이다. 관암지맥은 계룡시 신도안에서 발원한 갑천의 북쪽 수계를 이룬다는 측면에서 보면 오봉산에서 불무산을 지나 금강/갑천 합수점에서 그 맥을 다하는 것으로 볼 수 있지만, 대부분은 수태극의 모형을 제대로 그리면서 그 보다 더 긴 산줄기인 오봉산에서 꾀꼬리봉 -부용봉으로 이어져 금강에서 그 맥을 다하는 개념으로 알고 있다.
주요 봉우리로는 쌀개봉(827.8m) - 천왕봉(天王峰 603m) - 황적봉(660m)- 밀목재 - 관암산(冠岩山 526.5m) - 백운봉(白雲峰 535m) - 자티고개 까지 동쪽으로 이어지고 대전둘레산길 구간에서 동북진 하면서 도덕봉(道德峰 535.2m) - 삽재 - 갑하산(甲下山 469m)-~ 우산봉(雨傘峰 574m)-~ 거칠메기고개 - 금병산(金屛山 383m) - 용바위고개 - 보덕봉(265m) - 오봉산(五峰山 241m) 으로 이어진 후 나분질고개 - 꾀꼬리봉(271.9m) - 부용봉(芙蓉峰 221m)에서 금강에 그 맥을 다한다.
동학사 일주문..
예전엔 은선폭포 방향으로 등산로가 있었는데 ..
잠시 조망이 트인는 곳에서 본 쌀개봉과 791m봉 사이의 홈통
은선폭포를 오르며 계룡산 주능과 나란히하는 관암지맥 능선상의 천왕봉을 바라보니 매우 오똑해보인다.
은선폭포
관음고개까지 이어지는 돌계단 깔딱오름
오름길에서 바라본 삼불봉능선
관음고개... 관음봉을 왕복한다.
관음봉에서 바라본 연천봉과 문필봉
관음봉에서 바라본 쌀개봉
관음봉에서 바라본 관암지맥 능선... 골짜기는 동학사
관음봉에서 서방향으로 부여의 들판이 펼쳐지고 ...
다시 관암지맥 주능선을 바라본다.
쌀개봉
쌀개봉 오름길에 명품 소나무...
쌀개봉에서 바라본 삼불봉능선
통천문...
통천문에서 바라본 계룡산주능선 삼불봉
계룡산 주능을 파노라마로 볼수 있는 관암지맥 능선
다시 쌀개봉의 깊은 안부를 뒤돌아보고..
관암지맥 마루금은 소나무와 어우러진 암릉이 멋지다.
앞으로 보이는 신선대 오름능선.. 그 뒤로 천왕봉..그 뒤로 관암산
다시 지나온 쌀개봉을 돌아본다.
동학사 계곡을 사이에두고 멀리 장군봉(암봉)
왜? 우나???
황적봉은 그저 밋밋한 능선에 조망도 없고 볼품 하나도 없지만 100m거리로 가까우니 다녀온다.
밀목재 생태통로... 도로로 내려서려면 생태통로를 건너기 전 좌측 좋은길로 내려서야 한다.
생태통로 좌우측으로 길고 긴 펜스로 막혀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