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맥/봉화지맥(終)
봉화지맥2(원주남중-배부른산-봉화산-상지대길)
수정신
2020. 12. 15. 22:45
2020년 12월 15일(화)
코스 : 원주중사거리-옥녀봉-천매봉-용화산-대성가구단지(19번도)-배부른산(포복산.)-332m-봉화산(334.8m)농산물시장앞(42번도)-매봉산(200.1m)-△210.6m-만종고개-상지대길(고속도로 암거).//16.6km(5:10)
봉화지맥2(원주남중-배부른산-봉화산-상지대길0).gpx
0.39MB
봉화지맥(鳳華枝脈)은
백두대간→한강기맥→영월지맥→백운지맥→봉화지맥으로 이어지는데
치악산 남대봉에서 원주시 부론면 정산리로 이어지는 백운지맥이 백운산 직전의 군부대가 있는 봉우리(강원도 원주시 판부면 신촌리와 충청북도 제천시 백운면 운학리의 경계점)에서 북서쪽과 북동쪽 및 서북쪽과 서남쪽으로 가지를 쳐 강원도 원주시 지정면 간현리로 이어지는 도상거리 약 33.2km의 산줄기로, 분기점에서 시작하여 간현리에서 그 맥을 섬강에 넘겨주고 있다.
이 산줄기를 따라가면 어깨봉(708.2m), 매봉산(545.5m), 백운산(535.7m), 용화산(227.7m), 배부른산(417.6m), 감박산(312.7m), 봉화산(334.8m), 덤바우산(262.6m), 장구봉(346.3m), 매봉산(253.1m), 영산(324.0m) 등을 만날 수가 있고, 이 산줄기의 서쪽과 남쪽에는 백운천, 매지천 등이 섬강으로 흐르며, 이 산줄기의 동쪽과 북쪽에는 봉천, 원주천 등이 섬강으로 흘러간다. -옮겨온 글-
※봉화지맥 1구간은 백운지맥 2구간(치악재~백운산 통신대)을 걸으며 봉화지맥 분기점에 접속하여 - 840m봉 -△어깨봉(708m) -매봉산(545m) -백운산(536m) -동물이동통로 -서곡로(매내미고개) -중앙고속도로 암거통과 -△214.4m -남원주중학교 사거리까지 10.5km를 진행하였다.
그러므로 봉화지맥 1구간 사진은 백운지맥 2구간 기록에 같이 올려져 있으므로 별도로 옮겨오지 않는다.※
-청량리에서 07:38분 무궁화호 열차로 원주역 08:55분 도착하여 택시를(\6,000) 타고 남원주중학교 사거리에 도착 산행을 시작한다.
공원화 되어있는 작은 봉우리인 옥녀봉을 올랐다 내려와 도로를 건너고 배수장을 우회하여 천매봉으로 오르는데 천매봉은 등로가 없고 온통 아카시아나무 가시잡목으로 덮여있어 생고생하며 30분을 소비한다.
(천매봉은 오르지 말아야 할 산이다.)
-오늘 산행은 원주시내를 사이에 두고 치악산 줄기와 봉화지맥 줄기가 마주보며 이어진다.
-50번 고속도로와 암거에서 산행 종료후 와룡님의 승용차로 세종대왕릉역(경강선)까지 와 무척 편하게 귀가한다.
천매봉정상. 지독한 아카시아나무 잡목
동물발자국을 따라 힘들게 내려와 돌아본 천매봉..
천매봉을 내려와 용화산삼거리까지 도로를 따른다.
↑배부른산 모습
가구단지 입구.. 식당들이 많다.
배부른산 오름길... 경사가 세고 길게 오른다.
↑배부른산(포복산.胞腹山 419m) 모습
멀리서 보면 아기를 밴 임산부 형상이라서 붙여진 이름이라고 하고, 원주에 물이 찼을 때 문막에 있는 배를 이 산에서 불렀기 때문에 배를 부른 산이라 불렀다고도 한다.
↑↓배부른산에서 치악산 조망
↑배부른산에서 서방향으로 보이는 명봉산(599m)
배부른산에서 내려오는 계단길은 급경사길
봉화산에서 치악산 조망
↑200m삼각점봉
210.6m 삼각점봉
↑우무개로
50번고속도로 암거에서 산행종료
지나온 상지대로